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설난영 찬조연설 분석 – 김문수 대선 후보를 어떻게 설명했나?

by 지원금+꿀팁 연구소장 2025. 5. 24.
반응형

설난영 씨의 찬조연설은 김문수 대선 후보의 인간성과 가족 중심 스토리를 강조하며, 정서적 접근을 통해 유권자와의 거리 좁히기를 시도했습니다.

 

김문수 후보의 인간적 면모와 가족 이야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배우자, 설난영 씨의 찬조연설을 보았습니다. 정치적 메시지보다는 인간적 서사와 가족 중심의 이야기에 방점을 두고 있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해당 연설 내용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살펴보려고 합니다.

 

찬조연설 바로보기

 


김문수 후보에 대한 인간적 접근

설난영 씨는 연설 초반, 김문수 후보를 “45년을 함께 살아온 남편”으로 소개하며 친밀감을 전달합니다. 그는 “정직하고 성실하며, 청렴 결백한 성품을 지녔다”고 말하며, 공직자로서의 일관된 태도를 강조합니다. 또한 “유머가 있고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 따뜻한 사람”이라는 표현을 통해 다소 엄격하게 보일 수 있는 정치인의 이미지에 인간적인 면모를 더하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

이와 함께 “전철을 즐겨 타며, 걷는 것을 좋아한다”는 생활 습관을 언급함으로써, 권력자보다는 서민과 유사한 생활 방식을 가진 인물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서술은 유권자와의 거리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략입니다.


설난영의 노동운동 및 여성운동 경험

설난영 씨는 1970년대 세진전자에서 근무하던 시절, 노동운동을 함께했던 경험을 소개하며 연설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습니다. 당시 노동 환경의 열악함과 법적 보호의 미비함을 직접 겪은 인물로서, 김문수 후보와의 공동 경험을 통해 후보자의 정책적 뿌리를 설명하려는 흐름이 읽힙니다.

또한 결혼과 출산 이후, 여성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한국여성노동자회’를 창립하고, 오늘날 어린이집과 유사한 ‘다가소’를 설립한 경험을 언급합니다. 이 부분은 여성 유권자층과의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김 후보가 일하는 여성의 현실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부각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가족 이야기와 감성적 요소

연설의 중반부에서는 가족의 희생과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김문수 후보의 인간적인 측면을 전달하려는 시도가 이어집니다. 보안사에 구속되어 수감된 김 후보를 어린 딸과 함께 면회 갔던 기억, 딸에게 교도소에서 받은 장난감을 건넸던 장면 등은 가족 중심의 이야기로서 감정적 호소력을 지닌 부분입니다.

이후, 경기도지사 재임 중 만난 위기가정, 한센인과의 교류 등 김 후보의 공직 경험을 감성적으로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대목도 등장합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정책이 추상적인 수치가 아닌, 실제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추천 글]

 

설난영 찬조연설 분석 – 김문수 대선 후보의 도덕성과 정치 메시지는?

설난영 씨는 찬조 연설 후반부에서 김문수 후보의 청렴성과 원칙 중심의 정치를 강조하며, ‘국민 중심’이라는 핵심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김문수 후보의 도덕성과 정치 메시지설난영 씨의

valueupstory.tistory.com

 

설난영 찬조연설 분석 – 유권자 공감 포인트 전략과 메시지

설난영 씨의 연설은 감성 스토리, 진정성, 도덕성 메시지를 조합하여 유권자 공감을 이끌었고,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사례로 평가됩니다.찬조연설의 구성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핵심은?2022년

valueup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