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재산 기준 완벽 가이드(+기준 중위소득표, 계산법)

by 지원금+꿀팁 연구소장 2025. 5. 17.
반응형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전 꼭 확인해야 할 소득 기준과 재산 기준을 정부 고시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소득·재산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가 저소득 근로청년을 돕기 위해 만든 제도입니다.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 총정리: 나는 대상자일까?(+만나이 계산기)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 조건을 연령, 소득, 근로유형별로 정리했습니다. 내가 신청 가능한지 정확하게 확인해보세요.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

valueupstory.tistory.com

 

그런데 신청할 수 있는지 확인하려면 단순히 “월급이 얼마냐”만 보지 않습니다.

정부는 '소득인정액'이라는 기준으로 나의 실제 형편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보다 낮아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이란?

소득인정액은 이렇게 계산돼요:

소득인정액 = (내가 실제로 버는 돈 – 공제) + 재산을 소득처럼 환산한 값

 

공식 문서에선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 근로・사업소득공제
재산의 소득환산액 = (재산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

 

결국 ‘월급’만이 아니라, 예금, 자동차, 집, 빚까지 다 계산된 결과가 바로 ‘소득인정액’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의 소득을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복지 정책의 주요 기준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보건복지부 고시를 통해 발표됩니다.

보건복지부 기준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생계·의료급여 선정기준과 최저보장수준 < 훈령/예규/고시/지침 < 법령 <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이 기준의 일정 비율 이하일 때 신청이 가능합니다.

  • 차상위 초과 청년: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차상위 이하 청년: 중위소득 50% 이하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공식 고시 기준)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원/월) 50% 기준 (원/월)
1인 2,392,013 1,196,006
2인 3,932,658 1,966,329
3인 5,025,353 2,512,676
4인 6,097,773 3,048,886
5인 7,108,192 3,554,096
6인 8,064,805 4,032,402

소득인정액 산정에 필요한 주요 요소

① 실제소득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이자소득, 공적수당 등
→ 내가 실제로 벌어들인 소득 전반을 포함합니다.

실업급여, 육아휴직수당, 무급근로는 근로소득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소득신고가 되지 않은 알바 소득도 증빙이 없으면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②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가구에 장애인, 아동, 노인이 있을 경우,
생활비용을 고려하여 일정 금액을 소득에서 공제해줍니다.

💡 공제 금액은 지자체와 가구 특성에 따라 다르며, 정부 복지시스템(행복e음 등)에서 자동 계산됩니다.


③ 근로·사업소득 공제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일정 금액은 소득으로 간주하지 않고 공제해줍니다.

  • 공제는 정률 공제(30%) + 추가공제 방식
  • 정확한 금액은 복지 시스템에서 자동 계산

💡 이 공제는 “일하는 사람에게 불리하지 않게 하겠다”는 목적입니다.


④ 재산의 소득환산액

예금, 부동산, 차량, 보험 등 모든 재산은 소득으로 환산됩니다.

공식: (재산 – 기본재산액 – 부채) × 소득환산율

  • 기본재산액: 최소한의 생활자산으로 간주하여 일정 금액까지는 빼줍니다.
    (가구원 수, 지역별로 다르며, 1인가구라도 정확한 금액은 지자체별로 다릅니다.)
  • 부채: 은행 대출, 임대보증금 채무 등 공식 증빙이 가능한 채무만 인정
  • 소득환산율: 재산 종류·지역에 따라 다르며, 행정복지센터 또는 시스템에서 자동 계산됩니다.

사례로 보는 판단 흐름 (수치는 예시 아님)

✔️ 합격 가능성 있음

  • 1인가구
  • 월급 120만 원
  • 예금 300만 원
  • 차량 없음
    → 소득공제와 기본재산 적용 후, 중위소득 239만 원 이하일 가능성 있음

❌ 탈락 가능성 있음

  • 2인가구
  • 월급 240만 원
  • 예금 2천만 원
  • 차량 시가 1,000만 원
    → 재산환산 포함 시 중위소득 2인 기준(393만 원) 초과 가능성 있음

마무리 요약

  •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내가 버는 돈과 가진 재산”을 모두 평가해 선정합니다.
  • 공제 항목이 적용되기 때문에, 단순 월급 기준으로 판단하면 안 됩니다.
  • 신청 여부는 복지로 자가진단 또는 행정복지센터에서 가장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모의 계산은 복지로 자가진단도 있지만 주민센터 상담이 더 정확합니다.

자가진단 바로가기

 

*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생계급여 신청 및 지급액, 처리기간 한눈에 보기

2025년 1인 가구 생계급여는 월 소득 50만 원 기준 약 26만 5천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후 처리기간은 30일 이내이며, 자세한 내용은 복지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함

valueupstory.tistory.com

 

2025년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과 재산 기준 차이|‘2024년 귀속 소득’과 ‘6월 1일 재산’ 헷갈리

근로장려금 자격, ‘소득은 1년 전체’, ‘재산은 6월 1일 하루’ 기준이에요. 귀속 소득과 재산 요건의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제가 근로장려금을 처음 알아볼 때 가장 헷갈렸던 게"도대체 어떤

valueupstory.tistory.com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 총정리: 나는 대상자일까?(+만나이 계산기)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 조건을 연령, 소득, 근로유형별로 정리했습니다. 내가 신청 가능한지 정확하게 확인해보세요.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

valueupstory.tistory.com

 

대선 투표방법: 사전투표, 본투표, 주소지 집계 기준 완벽 가이드

본투표는 주소지 지정 투표소에서,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하며 표는 주소지로 집계됩니다. 다가오는 6.3 대통령선거.“투표는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하나?” “사전투표와 본투표의 차이

valueupstory.tistory.com

 

K패스 다자녀 혜택 신청방법 – 조건, 절차, 서류 정리! | K패스 카드 발급 가이드

2025년부터 시행되는 K패스 다자녀 혜택! 미성년 자녀가 있는 2자녀 이상 가구라면 K패스 카드로 최대 50%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2025년 1월 1일부터 K패스 카드 사용자들을 위한 새로운 다자

valueupstory.tistory.com

 

근로장려금 가구 정정 요청하는 방법|신청이 잘못됐을 때 필요한 구제 방법

근로장려금 가구 중복, 전입신고 누락 등으로 잘못 신청됐더라도 정정 요청과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홈택스 경로까지 안내드립니다. “부모님이 저를 가구원으로 넣어서

valueupstory.tistory.com

 

근로소득 외 수입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과 기타소득금액 확인 방법 정리

근로소득 외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일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이 있는데 종합소득세이 필요한 경우와 홈택스에서 기타소득금액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근로소득자

valueup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