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셀트리온 무상증자 궁금증 해결! 신주 배정·종가·평단가 한 번에 정리

by 지원금+꿀팁 연구소장 2025. 6. 30.
반응형

셀트리온 무상증자에 대해 신주배정 기준일, 상장일, 평단가 조정, 권리락 등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투자자라면 꼭 확인하세요!

 

2025년 6월 10일, 셀트리온의 무상증자 기준일을 맞아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내가 받은 신주는 언제부터 거래 가능할까?", "평단가는 어떻게 변할까?" 등 궁금한 점이 많으실 텐데요. 본 글에서는 셀트리온 무상증자의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셀트리온 무상증자, 핵심 포인트 4가지

1. 신주 배정 기준일과 신주 상장일

  • 신주배정기준일: 2025년 6월 10일
    이 날짜에 주주명부에 이름이 올라 있어야 신주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주상장예정일: 2025년 7월 25일
    실제로 새로 받은 주식을 시장에서 매도하거나 매수할 수 있는 시점입니다.
  • 신주배정 비율: 1주당 0.04주
    예를 들어, 셀트리온 주식 100주를 가지고 있었다면 무상으로 4주를 받게 됩니다. 단순 계산이라도 이렇게 주식 수가 4% 늘어난다는 건 분명한 혜택이죠.

셀트리온 공식 사이트에서 무상증자 공지 사항 원문 보기


2. 무상증자와 평단가 변화

무상증자는 말 그대로 공짜로 주식을 더 나눠주는 것입니다. 투자금은 늘지 않지만 주식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자동으로 평단가(평균 매입단가)가 하락합니다.

 예시 계산:

  • 기존 보유: 100주 × 170,000원 = 17,000,000원
  • 신주 배정: 4주 → 총 104주
  • 조정 후 평단가: 예를 들어, 100주를 17만 원에 보유하고 있다면 총 투자금은 17,000,000원입니다.
    여기에 무상으로 받은 4주를 더해 총 104주가 되며, 조정된 평단가는
    17,000,000 ÷ 104 = 약 163,461원으로 자동 하향 조정됩니다.

즉, 6,539원이 내려간 것이죠. 이는 무상증자의 대표적인 장점으로, 수익률 계산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권리락과 주가 변동

무상증자 이후 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권리락이라고 합니다. 이는 실제 손해가 아니라, 주식 수가 늘어난 만큼 주가가 조정되는 인위적인 현상입니다.

  • 7월 25일 신주 상장 시점, 셀트리온 주가는 이론적으로 하락할 수 있지만,
  • 실제 주가는 기업 실적, 투자 심리 등에 따라 다르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과거 사례에서도 권리락 이후 상승한 종목들이 꽤 있었던 만큼, 단기적인 하락에 지나치게 민감할 필요는 없습니다.


4. 무상증자의 의미와 셀트리온의 의도

셀트리온은 이번 무상증자를 통해 약 4%의 주식 배당 효과를 주주에게 제공하며, 주주 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주식 증가가 아닌, 기업 신뢰도 제고와 장기 투자자 유인이라는 전략적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죠.
무상증자를 하는 기업 대부분은 "우리는 자신 있다"는 신호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무리

  • 2025년 6월 10일 주주명부 등재자는 1주당 0.04주씩 신주를 무상으로 배정받습니다.
  • 신주 상장일은 2025년 7월 25일이며, 이 시점부터 거래 가능해집니다.
  • 무상증자는 기존 평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주며, 실질 투자금은 변하지 않습니다.
  • 권리락 발생 가능성은 있으나, 시장의 반응에 따라 다르게 전개될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단기적인 주가 변동보다는 장기적인 주주 가치 증가에 주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A: 셀트리온 무상증자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

Q1. 6월 10일 이전에 주식을 매수해야 하나요?

A. 네, 정확히는 6월 7일까지 매수 후 보유해야 6월 10일 기준 주주명부에 등재됩니다. T+2일 제도(거래일 기준 2일 후 결제)를 고려하세요.

Q2. 신주를 받은 뒤 바로 매도해도 되나요?

A. 가능합니다. 7월 25일 상장일 이후라면 기존 주식과 동일하게 거래됩니다.

Q3. 무상증자 받으면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A. 무상증자 자체로는 과세되지 않습니다. 단, 이후 주식을 매도할 경우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4. 평단가 하락이 투자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A. 동일한 총 투자금 대비 수익률이 개선될 수 있으며, 손익분기점 도달이 빨라질 수 있습니다.

Q5. 왜 무상으로 주식을 나눠주나요?

A. 기업은 주주 친화 정책의 일환으로 무상증자를 단행합니다. 이는 기업 이미지 개선과 주가 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천 글]

셀트리온 무상증자, 신주배정통지서 | 뜻과 이유, 주가 전망, 뭘 하면 되는데?

 

셀트리온 무상증자, 신주배정통지서 | 뜻과 이유, 주가 전망, 뭘 하면 되는데?

셀트리온 무상증자 소식, 신주배정통지서 뜻부터 주가 전망까지! 주린이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풀어 설명드립니다. 최근 주변에서 "셀트리온에서 신주배정통지서가 왔는데 이게 뭐지?", "무상

valueupstory.tistory.com

코스피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시가총액 가중 방식과 공식, 수익률 해석까지 정리

 

코스피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시가총액 가중 방식과 공식, 수익률 해석까지 정리

코스피 지수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시가총액 가중 방식의 원리, 공식, 예시, 연평균 수익률까지 공신력 있는 자료를 기반으로 쉽게 정리했습니다. 2025년 6월 25일, 언론에서는 코스피 지수는 3,108.

valueupstory.tistory.com

주식 PER이란? 뜻, 계산법, 보는 법, 기준과 100의 의미, 마이너스 해석, PBR·EPS와의 차이(삼성전자 사례)

 

주식 PER이란? 뜻, 계산법, 보는 법, 기준과 100의 의미, 마이너스 해석, PBR·EPS와의 차이(삼성전자

주식 PER이란 무엇인지부터 계산법, 해석법, PER 100·마이너스 의미까지 삼성전자 사례로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투자 입문 가이드입니다. 주식을 시작하면 보이고 들리는 용어 중 하나가

valueupstory.tistory.com

지주회사 ETF vs 금융지주 ETF, 지금 투자한다면?(한국 ETF, 밸류업, 배당, 성장성, 투자전략)

 

지주회사 ETF vs 금융지주 ETF, 지금 투자한다면?(한국 ETF, 밸류업, 배당, 성장성, 투자전략)

지주회사 ETF는 성장성과 구조개선 기대에 강세, 금융지주 ETF는 안정적 배당과 실적이 강점, 투자 목적(성장 vs. 안정/배당)과 리스크 성향에 따라 선택하세요.최근 지주사와 증권주 움직임이 매

valueupstory.tistory.com

주식에서 '지주', '증권', '홀딩스'의 차이

 

주식에서 '지주', '증권', '홀딩스'의 차이

지주/ 홀딩스는 여러 자회사의 주식을 보유해 그룹 전체를 관리하는 '지배회사'를 말합니다. 증권사는 주식 등 금융상품을 매매·중개하는 금융회사를 말합니다. 최근에 주식 시장에서 "증권주

valueupstory.tistory.com

 

 

반응형